혼슈와훗카이도사이의 놓인 해협의 직선거리는23km 하지만 관통하는 세이칸터널의 길이는53.85km입니다
해저터널의 주된 목적은 교통과물류를 이송하기위하여 해저아래에 터널을 뚫어서 육지와육지를 연결하는 교통수단이 주요 목적이 될수있습니다 철도와 물류를 이송함으로써 좀더 빠르고 신속함을 만들어 내기 위한 목적이 될수 있겠는데요
바다밑을 지나는 일이라 결코 쉽지 않은 공사가 될것입니다
그러나 27년간 공사끝에 1988년 3월 13일에 개통이 된 일본의 세이카 터널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긴 해저터널이고 총길이가 53.85km 육지간 거리는 23.3km에 달하지만
해저의 길이는 두배에 달합니다.
우리나라의 지하철5호선길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
또한 27년이라는 숫자가 보여주듯이 쉽지않은 공사였고 굴착에 사용된 폭약은 2900만톤 입니다
시멘트를 후지산850개를 쌓을수 있는 양을 써서 만든 터널입니다 터널안에는 역이 2개가 있다고 있고
지반조사기간만 7년 최저 지점은 해발240m로 수심은 140m이고 해저보다 100m 아래입니다
건설도중 1979년침수사고가 발생이되는데 단층을 잘못 건드리면서 분당85톤의 물이 침수해 들어왔고
모든터널이 침수되고 해수복구에만 162일이 걸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터널의 가장낮은 집수정에 물이 모이면 펌프로 뿜어내는 세이칸 터널의 배수펌프장이 3군데 만들어져 있습니다
해저터널은사고가나면 바닷물이 대량으로 유입이되서 붕괴가될수있기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집니다
당초계획예산은 6900억엔이었으나 2100엔이 추가 지출되어 실제 공사비용은 9000억엔에 달함니다
지금현재 시세로보면 8조7000억원 정도라 보시면되고
연 1370만명이 건설에 동원되었다고 합니다
세이칸 터널은 불가능을 가능케 했던 부분인지라 이번일로 일본은 토목기술력에서 우뚝 자리를 잡습니다
이 기술력을 참고해서 31년걸린 최첨단 9.6km동경만 해저터널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K' 와 '사모펀드' 는 뭐지? 어떤일을 하는지? (0) | 2025.03.08 |
---|---|
배터리기술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는 뭘까?미래전망 (0) | 2025.03.08 |
3D 홀로그램은 뭐지?제조회사는? (0) | 2025.03.07 |
'디지털자산'기본법이란? NFT는뭐지? (1) | 2025.03.07 |
대한민국 '상소세법' 은?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