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25국내'배터리기업 대형top5' ,최근실적추이

1000persent 2025. 3. 8. 18:31
728x90

한국에는 다양한 배터리 제조 회사들이 있습니다. 주요 회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G에너지솔루션 (LG Energy Solution): LG화학의 자회사로, 전 세계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를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삼성SDI: 삼성의 전자 부문 계열사로,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다양한 배터리를 제조합니다.
  3. SK이노베이션: SK그룹의 계열사로, 전기차 배터리, ESS 배터리 등을 제조하며,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4. 한화큐셀 (Hanwha Q CELLS): 한화그룹의 계열사로, 주로 태양광 관련 사업을 하지만, 최근에는 배터리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5. POSCO케미칼: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등 다양한 배터리 관련 제품을 생산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은 LG화학의 배터리 사업 부문이 2020년 12월 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상장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분야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4분기 기준, LG에너지솔루션의 매출액은 약 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은 약 5,000억 원으로 흑자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ESS 시장 확대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2025년 1분기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가 매출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LG에너지솔루션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삼성SDI는 2024년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16조 5,922억 원, 영업이익 3,63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은 22.6%, 영업이익은 76.5%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4년 4분기에는 매출액 3조 7,545억 원, 영업손실 2,567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를 보였습니다. 이는 전방 수요 둔화와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실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분야에서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2024년 4분기에 매출액 약 18.7조 원, 영업이익 약 1,02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4년 3분기에는 매출액 약 19.5조 원, 영업손실 약 4,601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를 보였습니다.

이는 배터리 사업 부문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024년 2분기에는 매출액 약 19.0조 원, 영업손실 약 45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실적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SK이노베이션은 2024년 8월 에너지 자회사 SK E&S와의 합병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사업 부문의 재무 구조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향후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사업 부문의 수익성 개선과 안정적인 재무 구조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한화큐셀(Hanwha Q CELLS)은 한화그룹의 태양광 사업 부문으로,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 2021년: 매출액 약 7조 5,000억 원, 영업이익 약 3,00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 2022년: 매출액 약 8조 2,000억 원, 영업이익 약 3,500억 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 2023년: 매출액 약 9조 원, 영업이익 약 4,000억 원을 기록하며,
    • 글로벌 태양광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이러한 성장은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한화큐셀의 기술 혁신,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판매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 향후 한화큐셀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글로벌 생산 역량 확대를 통해 태양광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포스코케미칼(현재의 포스코퓨처엠)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주요 연도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2021년부터 배터리 소재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전체 매출액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2022년 3분기에는 매출액 5,049억 5,900만 원, 영업이익 314억 7,200만 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9%와 62.4% 증가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실적 증가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포스코퓨처엠의 기술 혁신 및 생산 능력 확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728x90